목차
1. 연방준비제도(Fed)
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같이 미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 보통 Fed라 줄여 부름)입니다. 1913년 창설된 연방준비제도는 미국의 중앙은행으로 연방준비제도이사회, 12개의 연준은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와 약 2,800개의 회원은행 등의 독립기관으로 구성된 조직입니다.
연방준비제도의 특징은 우리나라의 한국은행처럼 단일의 중앙은행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각 지역별로 연준은행들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권력이 한 곳으로 집중되는 것을 두려워하고, 미국은 각 주가 연합하여 구성한 연방(聯邦)이라는 원칙을 중시하는 미국인들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각 지역별로 설립된 12개의 연방준비제도 소속 은행들을 연방준비은행(FRB: Federal Reserve Bank)이라 부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FRB가 연방준비제도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방준비은행은 연방준비제도 회원인 해당 지역 민간 상업은행들이 소유하고 있는 준민간기관이라는 특징도 가지고 있습니다.
연방준비제도에서 준비는 영어 Reserve를 번역한 것인데, 이것은 원래 지급준비금을 의미합니다. 일반 상업은행들은 고객들로부터 예금을 받아 이것을 다른 개인이나 기업에 대출합니다. 은행 입장에서는 가급적 많은 돈을 대출하여 이자 수익을 늘리는 것이 경영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고객의 예금을 모두 대출에 사용한다면 고객들의 지급요구가 있을 때 돈을 인출해주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집니다. 따라서 예금의 일정비율을 고객들의 지급요구에 대비한 준비금으로 보유하도록 하는 제도가 탄생하였고, 이를 지급준비금제도라 합니다. 법정지급준비율을 정하고, 은행들의 지급준비금을 보관하는 일이 연방준비제도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지게 된 것입니다. 연방준비제도는 이 밖에도 정책금리 결정 등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KDI경제정보센터
2.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s rate)
미국에 있는 각종 은행이 이웃 은행한테 급전을 빌릴 때의 금리를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s Rate)라 합니다.
연방기금금리는 미국에서 금융 기관이 다른 금융기관으로부터 지급준비금을 일시적으로 대출하는데 적용되는 무담보 1일물 금리입니다. 지급준비금이 풍부한 금융기관은 지급준비금이 부족한 금융기관에 여신을 제공할 때 연방기금금리가 적용됩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연방기금금리의 목표치(target)를 설정하고, 뉴욕 연방준비은행에서 연방기금금리를 목표치에 다다르도록 하기 위해 공개시장운영을 수행을 합니다. 페더럴 펀드 금리, 즉 연방기금금리는 실질적으로 미국의 기준금리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연방기금금리는 미국의 단기 금리 및 중장기 금리에 영향을 미치며 미국 재무부 국채 금리는 연방기금금리와 유사한 방향으로 변동하는 경향이 있다.
ⓒ Wikipedia
3. GDP (국내총생산)
국내총생산(國內總生産, gross domestic product)은 일정 기간 동안 한 국가에서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시장 가치를 합한 것을 의미하며 보통 1년을 기준으로 측정합니다. 1980년대까지는 한 나라의 경제규모 등을 나타내는 국민소득의 지표로 국민 총생산(GNP, gross national product)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국내에 거주하는 국민의 실제적인 복지를 측정하는 데에는 GDP가 더 적합하다는 의식하에 지금은 GDP가 널리 쓰이고 있으며, 국내총생산은 지역 내 총생산(GRDP)의 합입니다.
ⓒWikipedia
'경제·금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지 환리스크 선물거래 선물환거래 (2) | 2024.06.08 |
---|